본문 바로가기

게임/삼국지 전략판

삼국지 전략판: 주장빼기와 주둔컨 a.k.a 상성컷

반응형

게임을 하다 보면 상대방에게 포로로 잡힐 것 같은 위기의 순간이 찾아옵니다. 하지만 위기를 기회로 침착하게 주장 빼기와 주둔컨을 활용해서 포로의 위기에서도 벗어나고, 전공도 챙기고, 최악의 경우 아군의 포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장빼기와 주둔컨
주장빼기와 주둔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주장 빼기와 주둔컨의 필요성

교전은 도착한 순서대로 발생하게 되고, 도착지에 주둔상태라면 교전이 발생하고, 체류상태라면 교전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교전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가 하나 더 있는데, 그게 바로 주장을 뺀 상태입니다. 이게 왜 필요하냐? 주둔으로 그냥 막거나 막지 못하면 포로가 되는 건 당연한 거 아니냐?라고 하실 수 있겠지만, 상대 1군의 체력을 최대한 소진시켜 피해를 최소화하고, 상대 더미와 병기를 손상시켜 내구감소의 최대치를 감소시키는 것만으로도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시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예시 )

내 주성체력이 2400이고, 눈앞에 상대부대가 20부대가량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20부대가 모두 1 군이라면 절망적이지만 최대한 상성을 저격해서 잡아야 하고,

더미 5부대, 병기 5부대, 1군 10부대로 구성된 20부대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1부대 최대 공성치가 회당 144
병기 최대 공성치가 회당 360

 

1. 무저항

20부대에게 모두 1 틱을 허용할 경우, (144 * 15) + (360 * 5) = 3,960의 내구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론적으로 20부대의 남은 체력 수만큼 아군 포로가 발생하게 생겼습니다.

편의상 8명의 포로가 예상됩니다. (120 체력 = 8 틱)

 

2. 더미와 병기만 제거

1군 10부대에게 모두 공성틱을 허용했을 경우 1,440 내구도가 감소합니다.

더미(720)와 병기(1,800)만 발라내줘도, 상대는 1군 2 틱으로 1 포로를 잡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4명의 포로가 예상됩니다.

 

3. 더미와 병기 + 상성저격

여기서 이제 저항을 통해 상대 1군 또한 상성컷을 해준다면?

최소한의 효과로 2부대를 이겼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럼 남은 부대의 공성 치는 1,440에서 1,152로 줄게 되고, 1군 3 틱으로 1 포로를 잡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2명의 포로가 예상됩니다.

 

요약
포로의 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피해최소화)
상대에게 병기컷, 상성컷에 대한 심리적인 압박을 줄 수 있다. (적 1군 체력 소모강요)

반응형

2. 주장 빼기와 주둔컨의 방법

보통의 포로작 시나리오는

  1. 1군으로 상대 주요 병력을 섬멸
  2. 더미 + 병기 투입
  3. 남은 1군으로 더미와 병기 덮기

이렇게 진행됩니다. 우리는 2번 항목 병기, 더미 투입시점을 노려야 합니다. 상대가 나에게 타일을 연결하면서 보통 더미부대를 사용하며, 닉네임과 병종을 미리 봐두거나 확실치 않다면 1 틱 허용 후, 전보를 통해 더미확인 후 잡아주도록 합니다.

전보를 통해 더미부대 확인
전보를 통해 더미부대 확인


1. 주둔

1-1. 주둔 타이밍별 교전 순서

주둔 1 2 3 4 5 6 7 8 9 10 >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주둔 6 7 8 9 10 > 5 4 3 2 1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주둔 > 10 9 8 7 6 5 4 3 2 1

 

요약
현재 교전 중인 건 역순으로
앞으로 오는 부대는 순서대로

 

1-2. 주둔의 활용

공성의 진행상황을 보다가 내가 노리는 먹잇감이 차례로 들어갔다 싶을 때 주둔으로 처리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주둔

2. 주장 빼기

1-1. 주장 빼기란?

주성에 주장을 다른 부장 슬롯으로 이동하여 의도적으로 교전을 흘리는 것을 말합니다. 주장 빼기는 주둔과 달리 체력을 소비하지 않기 때문에 본성, 분성에 한해서 상성컷을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병력이 소진되거나 부상을 당하지 않는다면, 예비병을 보충해서 무제한으로 발동이 가능합니다.

왼쪽 : 주장 빼기 / 오른쪽 : 주장 넣기
왼쪽 : 주장 빼기 / 오른쪽 : 주장 넣기

 

1-2. 주장 빼기의 활용

4, 5, 8번에 병기부대가 있다고 가정하고, 주장 빼기로 저격한다면, 아래와 같이 컨트롤해 줍니다.

빼기1 2 3 넣기 4 5 빼기 6 7 넣기 8 빼기 9 10

 

요약
교전을 피하려면 주장 빼기
교전을 하려면 주장 넣기

주의
빠른 손놀림이 필요하며,
부대 간격이 최소 4~5초 이상 차이가 날 때 사용

3. 행군

주성에 공성 중인 타일을 향해 행군으로 상대 부대를 저격하는 방법입니다.

 

주의
행군은 위에 표기된 6개의 타일에만 활용 가능합니다.
행군 경로 참조

3. 맺는말

아무리 유리한 게임에서도 전방에 위치한 나의 주성이 한순간에 적에게 둘러싸여 포로가 될 위기에 처하는 건 피해 갈 수 없는 것 같습니다. 포로가 되더라도 게임이 끝나는 것도 아니고, 사기저하적인 측면과 약간의 불편감과 지루함이 있기는 하지만 위기의 상황에서 슬기롭게 대처해 상대방을 곤란하게 만들고, 나의 전공을 채우며, 위기 또한 극복한다면, 많은 맹원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습니다. 주장 빼기는 많이 연습하시면 부대 간격이 짧아도 저격이 가능하니 위기 시마다 연습하는 마음으로 하나하나 발라내시면 더 좋은 성과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삼국지 전략판: 티어덱 - 강관유 (등풍기)

혜성같이 등장한 신규 전법 비웅군으로 인해 떠오르는 티어덱이 있으니, 강관유 등풍기가 그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초반 강관채(15 코스트) 개척을 시작으로 자연스럽게 강관유(19 코

waitplz.tistory.com

반응형